50대 이상만 알 수 있는 것:예전엔 나 없으면 안 된다더니
“아빠, 없으면 안 돼요.” “부장님 없으면 보고서가 안 나가요.” “여보, 이거 당신이 해야 돌아가잖아.” 예전엔 진짜 **내가 없으면 세상이 멈출 것 같았다.**그런데 지금은?“아빠, 잠깐만. 지금 바빠.” “퇴직하셨으면 푹 쉬세요.” “아, 나 혼자도 할 수 있어요.”**언제부턴가 내가 사라져도 아무 일도 안 생긴다.** 처음엔 좀 허무했고, 요즘은 그냥 웃긴다. 회사에서 빠졌을 때정년 1년 앞두고 명예퇴직을 했다. 회의에서 빠지면 업무가 꼬이고, 내가 없으면 보고서가 누락되던 그곳. 떠난 뒤 한 달쯤 지나 찾아가봤다.“어, 부장님~ 잘 지내시죠?” 환영은 했지만, 눈빛엔 어색함이 가득했다. 보고서도 잘 돌아가고, 팀도 잘 굴러가고 있었다.그제야 실감했다. ‘아, 나 아니어도 잘 돌아가는구나.’ 회..
2025. 4. 18.
살아남기:최저시급으로도 저축이 될까?
주말 편의점 알바를 하고 있다. 시급은 **10,030원**, 하루 8시간. 이틀 풀로 일하면 주급은 약 160,000원. 한 달이면 64만 원 정도. 이 돈으로 **생활도 하고, 저축도 하라고?** 말도 안 되는 소리 같지만, 한번 해봤다. 무모한 도전, ‘최저시급 저축 프로젝트’다. 1. 목표 설정부터 웃겼다처음엔 단단히 마음먹었다. “한 달에 10만 원은 꼭 저축하자.” 근데 계산해보니, 월세 30만 원, 식비 25만 원, 교통비 5만 원이면 이미 끝이다.유튜브에서 본 “무지출 챌린지”를 따라 **커피 안 사기, 배달 금지, 외식 금지, 충동구매 금지** 선언. 지갑 대신 텀블러와 도시락통을 들고 다니기 시작했다.웃픈 순간들카페 앞을 지나칠 때마다 정신 수양마트에서 장바구니보다 휴지 가격을 더 오래..
2025. 4. 18.
50대 이상만 알 수 있는 것:연금은 멀고, 고지서는 가깝다
“드디어 퇴직이다!” 꿈꿨다. 느긋한 아침, 텃밭 가꾸기, 여행과 독서…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연금은 아직 안 나오고, 고지서는 어김없이 제 날짜에 온다.** 연금 개시일: 아직도 한참 남았다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는 63세부터. 그런데 퇴직은 55세에 했다. 그 사이의 8년은… 누가 책임져주나?국민연금 안내 책자에는 ‘당신의 노후를 지켜드립니다’라고 써 있지만, **그 ‘노후’가 너무 늦게 온다.** 지금은 당장 전기요금, 관리비, 통신비가 눈앞에 있다.고지서는 절대 안 늦는다연금은 '예정일', '신청일'이란 말이 붙는데, 고지서는 '납부기한', '지연 시 연체료 부과'. 연금은 미래형, 고지서는 현실 직격탄이다.우편함에 쌓이는 건 슬프게도 ‘청구서’뿐이다. “우편으로 편지 받는 낭만은 사라졌다..
2025.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