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암환자의 가족이야기:괜찮다고 말해도 괜찮지 않은 날들

by kiki3304 2025. 4. 22.

 

"괜찮아"라는 말. 우리는 아플 때보다, 누군가 아플 때 더 자주 꺼냅니다. 하지만 그 말의 이면에는 참아내는 고통과 말하지 못한 감정들이 가득합니다. 특히 암환자의 가족들은 감정의 롤러코스터 위를 매일 오르내리는 사람들입니다.

감정은 숨는다고 사라지지 않는다

암 진단을 받는 순간, 환자만이 아니라 가족 모두가 병의 여정을 시작합니다. 놀람, 두려움, 불안, 희망, 절망, 분노, 죄책감… 하루에도 수차례 감정이 바뀝니다. 가족들은 환자 앞에서는 씩씩해야 한다고 스스로를 다잡지만, 밤이 되면 조용히 울거나, 무기력해진 채 하루를 마무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나까지 힘들면 안 되니까"

가족이라는 이유로, 간병인이라는 책임감으로, 많은 감정을 억누르게 됩니다. "내가 더 힘들어하면 안 돼", "엄마가 더 아픈데 내가 울면 안 돼", 그렇게 감정을 억제한 채 ‘괜찮은 사람’으로 남는 연기는 결국 자신을 병들게 하기도 합니다.

감정의 롤러코스터는 자연스러운 것

이런 감정 기복은 매우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중요한 것은 그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용기입니다. 나쁜 감정은 없습니다. 단지 그것이 표현되지 않고 억눌릴 때, 마음속에서 무겁게 자리를 잡을 뿐이죠.

혼자 견디지 않아도 됩니다

가까운 친구에게 털어놓는 것도 좋고, 상담센터의 문을 두드리는 것도 괜찮습니다. 요즘은 암환자 가족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나 정서 지원 프로그램도 많습니다. 감정을 나누는 순간, 고통은 절반이 됩니다.

감정은 약함이 아니라, 살아 있다는 증거

누군가를 깊이 사랑할 때 우리는 아픕니다. 그 사랑이 불안정해질 때, 우리는 감정의 격랑을 겪습니다. 그러니 너무 자신을 탓하지 마세요. 당신이 괜찮지 않은 건, 그만큼 사랑하고 있다는 증거니까요.

언젠가 이 시간이 지나고, 당신은 다시 웃을 수 있을 겁니다. 그때까지, 하루하루 자신에게 이렇게 말해보세요. “오늘만큼은 괜찮지 않아도 괜찮아.”